본문 바로가기

IT/Linux

쉘 명령어

반응형

head

  파일내의 앞부분에 있는 내용이 출력합니다.

 - head 옵션 파일명


tail

  파일내의 마지막 부분에 있는 내용 출력합니다.

 - tail 옵션 파일명


echo 

 시스템 환경 변수나 입ㄹ력 내용을 화면에 출력할 때 사용합니다.


clear 

 화면상에 보여지는 모든 메시지를 제거할 때 사용합니다.


find 

 파일 검색을 합니다.


grep 

 파일에서 정규식에 맞는 텍스트 라인을 찾아서 출력해주는 명령입니다.


sed 

  명령행이나 스크립트에서 명령을 통해 텍스트 파일에 있는 글자를 특정 패턴에 따라 글자를 선택하여 변경하고, 입력하고, 삭제하는 명령행의 에디터 도구입니다.


awk 

 텍스트 파일에서 특정 문자의 패턴을 추출하여 원하는 형태로 처리되도록 하는 패턴을 검색 후 처리 언어로 쉘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합니다.


xargs 

 지정된 명령어와 기본 인수 뒤에 표준 입력으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열을 공백이나 라인으로 구분하여 인수로써 명령행을 만들어 처리해주는 명령입니다.


wc 

 파일내의 다너 수를 파악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read 

 표준입력을 받아들여 변수로 저장하는 역할입니다.


test 

 주어진 조건식을 평가하는 내장 명령어. 주어진 조건식이 참이면 종료값 0을 그렇지 않으면 1을 반환합니다.


declare 

 변수를 정의할 때 사용되는 내부명령어입니다.


exit 

 스크립트를 종료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내부 명령어입니다.


set 

 변수명과 변수값을 지정할 때 사용합니다.


unset 

 선언된 변수를 해제할 때 사용합니다.


sleep 

 대기할 시간을 지정하는 명령어입니다.




반응형

'I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 유저 ssh 접속 제한 설정  (0) 2013.12.16
[방화벽] 상대방 포트가 오픈되어 있는지 확인 방법  (0) 2013.12.12
쉘 - 파일 디스크립터  (0) 2013.12.11
입출력 리다이렉션  (0) 2013.12.11
tmpwatch  (0) 2013.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