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눅스 서버 정보 확인 ( CPU, MEMORY) 서버 정보 확인 서버버전 : cat /etc/redhat-releaseCPU : cat /proc/cpuinfoMEMORY : cat /proc/meminfo mysqldump mysqldump mysql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중요한 자료를 백업해 두면 나중에 문제가 생길 시 복구 할수 있기때문에 필수입니다. Databases 전체 덤프 mysqldump -u아이디 -p --all-databases > 저장될 파일명 하나의 Databases만 덤프 mysqldump -u아이디 -p DB명 > 저장될 파일명 하나의 테이블만 덤프 mysqldump -u아이디 -p DB명 테이블명 > 저장될 파일명 테이블의 구조만 덤프 mysqldump -u아이디 -p --no-data DB명 테이블명 > 저장될 파일명 테이블구조를 제외한 데이터만 덤프 mysqldump -u아이디 -p --no-create DB명 테이블명 . 저장될 파일명 복구 dump파일을 이용한 복구 mysql .. 일반 유저 ssh 접속 제한 설정 일반 유저 ssh 접속 제한 설정 설정파일 /etc/ssh/sshd_config Post 22 : ssh 사용포트지정(기본이 22포트)AllowGroups : 등록된 group만 접속 가능AllowUsers : 등록된 계정만 접속가능DenyGroups : 모두접속허용, 여기에 등록된 group만 접속 거부DenyUsers ; 모두접속허용, 여기에 등록된 게정만 접속 거부 ssh 접속을 일반 유저에게 막고 특정한 계정만 ssh허용을 하실때 유용합니다. 모든 사용자를 ssh 열어두시는것보다는 보안상에도 , 관리상에도 좋을 것 같습니다. 포트도 변경하여 사용하면 더욱더 보안상 좋습니다. * 서비스 재시작을 하셔야 적용이 됩니다./etc/init.d/ssh restart [방화벽] 상대방 포트가 오픈되어 있는지 확인 방법 netcat (nc) : 상대방 머신에 접속이 되지 않을 때 혹시 포트가 막혀있는지 확인해 보는 방법. 네트워크 유틸리티임. nc -z 호스트주소 포트 예) nc -z www.naver.com 80 옵션 z : 포트검색 * 특정 머신의 포트 범위를 지정하여 포트 확인nc 호스트주소 -z 시작포트-끝포트 포트 확인하는 유틸리티 입니다.해당 도메인에 포트가 열려있는지 막혀있는지 확인 하실때 유용합니다.서버 관리 하시거나 특정 포트 확인 하실때 사용해 보세요. 입출력 리다이렉션 리다이렉션(redirection) - 쉘에서 명령의 결과를 모니터가 아닌 파일로 저장 - > , filetxt.txt > : 표준출력 : 명령 > 파일 : 명령의 결과를 파일로 저장>> : 표준출력(추가) : 명령 >> 파일 : 명령의 결과를 기존판일에 추가& 파일명 : 명령이 실행된 표준 출력의 결과와 에러를 파일로 출력합니다.명령 >>& 파일명 : 명령이 실행된 표준 출력의 결과와 에러를 기존파일에 추가하여 출력명령 >! 파일명 : 파일이 있든 없든 상관없이 생성하고 명령이 실행된 표준 출력의 결과를 파일로 출력명령 >&! 파일명 : 파일이 있든 없든 상관없이 생성하고 명령이 실행된 표준 출력의 결과와 에러를 파일로 출력명령.. tmpwatch tmpwatch /tmp 안을 정리하는 유용한 cron /tmp에서 24시간동안 access 없었던 파일을 찾아 제거해주는 기능. atime, mtime, ctime 등의 다른 옵션을 통해 access 타임 기준이 아니라 modification time, create time 기준으로 정리 가능함. flags=-umc/usr/sbin/tmpwatch "$flags" -x /tmp/.X11-unix -x /tmp/.XIM-unix \ -x /tmp/.font-unix -x /tmp/.ICE-unix -x /tmp/.Test-unix 240 /tmp/usr/sbin/tmpwatch "$flags" 720 /var/tmpfor d in /var/{cache/man,catman}/{cat?,X11R6/cat?,.. 리눅스에서 make명령어 사용방법 1. make - 여러 파일로 구성된 프로그램이 하나의 소스파일을 수정하면 모든 파일을 다시 컴파일하고 링크해야 함. 결국 이러한 것들을 한번에 수정된 파일만 자동으로 알아서 컴파일 하고 수정하지 않은 파일에 대해서는 기존 그대로 이용하게 해주는 것. 2. make 사용하기 - mak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makefile이 필요함. useradd, adduser 사용자 계정 생성 useradd(사용자 계정생성) 또는 adduser /etc/passwd 파일의 형식 ID:x:UID:GID:comment:홈디렉토리:쉘종류 1. /etc/passwd 파일에 사용자의 계정(ID및 패스워드)생성2. /etc/group 파일에 사용자의 그룹 생성3. /home에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생성4. 사용자의 로그인정보 및 환경설정5. 사용자의 디렉토리 및 파일 소유권 변경 및 확인6. DB 사용을 위한 환경설정 및 응용프로그램사용을 위한 환경설정7. 기타 응용 소프트웨어 사용을 위한 설정 ------시스템내부------ useradd로 사용자 생성 명령이 되면 /etc/login.defs의 조건이 적용되어 /etc/default/useradd에 있는 기본값으로 사용자가 생성됨/etc/skel 디렉토.. 이전 1 2 다음